문의 메일 : haansori @ haansori.com
문의 전화 : 031-897-1933
사업 영역 : 시스템 설계, 솔루션 아키텍처 컨설팅, CCTV 및 하드웨어 소싱
1. 화재징후 감지 시스템 개요
1.1 지능형 화재징후 감지 시스템 소개
지능형 화재징후 감지 시스템은 전력구, 수배전반, 전동기 등 각종 전력설비에서 화재발생 전 이상온도 상승 등 화재징후를 조기에 감지하고 담당자에게 조기 경보할 수 있는 "IT 융복합 지능형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"입니다.
1.2 시스템 특징
- 전력설비 등 접속부에서 이상 온도 상승 시, 열화상 센서가 조기 감지하여
전기화재를 사전에 예방하는 시스템
- 상시점검이 어려운 각종 전력설비의 주요 접속지점의 온도 상승 여부를
24시간 모니터링
- 설정 온도 이상 상승 시, 즉시 감지하여 관리자의 스마트폰에 문자 전송 및 해당 지역의
실시간 영상을 전송(CCTV 연동)
- 기존 고가의 열화상 카메라 대비 구축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시스템
< 시스템 구성도 >
1.3 열화상 센서
- 열화상 센서는 사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특수 센서로 감지하고, 감지된 온도값을
이미지화 해주는 기술로 사물 또는 전기 설비의 열 상태에 대한 완전한 정보 획득 가능
- 적외선 센서 모듈에는 고도의 정교한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음
-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점을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, 연속 가동이 중요한
발전소, 제철소, 전력회사를 비롯하여, 공항, 정유공장, 공공시설, 배전반 등의 설비 상의
문제점을 미리 파악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
- 열화상 센서 솔루션은 화재감지, 공장자동화, 연구개발, 비파괴검사 등 다양한
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음
1.4 기존 화재 화재 감지기 문제점
- 화재 시 발생하는 화염, 연기가 반드시 감지센서에 도달 하여야만 감지가 가능
- 조기 감지의 어려움, 사후 대비 위주
- 화재감지 지연 시, 인적 소화 대응 불가능 : 화염 및 유독성 가스로 현장 접근 불가
- 천정 높이가 높은 공장 및 대공간의 경우 층고가 높을 수록 감지시간이 늦어짐
2. 시스템 원리 및 구성
2.1 열화상 센서 기능
2.1.1 열화상 센서 규격
2.1.2 옥내외 겸용 30m 기준(화재감지 범위 : 60° x 15°)
( 거리별 감지 면적 )
2.1.3 수배전반 전용 2m 이내 사용 권장(화재감지 범위 : 120° x 30°)
( 거리별 감지 면적 )
2.4 시스템 구성도
2.4.1 RS232 - RS485
- RS232 기반 구성(시리얼통신, RS485 변환)
- 소규모 간단한 구성에 적합
2.4.2 RS232 - RS485 - 광통신
- 광통신, RS232 기반 구성(시리얼통신, RS485 변환)
- 넓게 분포된 지역에 걸쳐 통합 구성 가능
2.4.2 RS232 - 이더넷
- 이더넷 기반 구성
-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(TCP/IP) 활용 가능
2.5 시스템 기능
2.5.1 사용자 인터페이스
- 온도 감지 대상 및 지역 설정
- 알람 발생 조건 설정
- 감시 지역 온도 추이 감시 및 그래프 표시
- 온도 추이 데이터 리포팅
2.5.2 E-MAP 관제 기능(예시)
- 고객사 현황에 맞춰 다양한 커스터마이징 가능
- 기존 운영 시스템 인터페이스 제공 가능
3. 경쟁력
3.1 기존 화재 감지 시스템의 한계
- 기존 열/연기 감지기는 감지기 내부로 열, 연기가 유입 또는 흡입되어야 감지 가능
- 실내의 체적이 큰 대공간, 높은 천정 및 기류가 형성되는 지역은 감지 시간의 지연 요소로
작동되어 성능 발휘에 불리
- 화재 발생 시, 비 화재보의 원인으로 작용
( 감지기 성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 )
3.2 일반 광전식 연기감지기 오작동
- LED가 감지실에 빛을 발산
- 발산된 빛은 감지실을 채우고, 감지실의 벽에 의하여 흡수됨
- 감지실은 주변 빛을 차단하고, 연기만을 받아들이도록 설계
- 광센서(Photo Diode)는 LED 등에 의해 생성되어 연기 등에 의하여 산란된 빛을 감지
- 감지기 내 공기중의 먼지 : 연기로 인식하여 오경보 발생
- 감지기 내부에 퇴적된 먼지 : 빛의 난반사를 일으켜 오경보 발생
3.3 기존 감지기와 비교
- 화재 발생 전 온도의 변화를 인지하여 알림으로써 사전 대응이 가능함
3.4 업무 프로세스 측면
- 주요 감시 대상 설비의 이상온도 발생 시, 사전 대응이 가능하므로 위험도가 극히 낮음
4. 적용 효과 및 향후 전망
4.1 도입 효과
- 주요 전력설비 24시간 실시간 이상온도 감시로 전기화재 발생 원천적 차단
- 주요 전력설비 화재 예방에 따른 피해복구에 소요되는 재설치 공사 비용 절감
- 비 화재보 동작에 의한 출동 횟수 감소로 이에 따른 운영 비용 절감
- 전기공급 중단 사전 예방에 따른 공장 가동피해 최소화
4.2 도입 사례
4.2.1 OO건설 김포 아울렛
- 설치 시기 : 2014년 10월
- 설치 장소 : OO 건설 김포 아울렛 전기실 수배전반
- 시스템 구성 : 화재징후 감지기 22대, NVR 1대(감지기 인터페이스)
( 수배전반 현황 및 화재징후 감지기 설치 모습 )
4.2.2 한전 OO 변전소 시범설치
- 설치 시기 : 2015년 6월
- 설치 장소 : 한국전력 OO 변전소(서울시 구로구 소재) 지하 전력구
- 시스템 구성 : 화재징후 감지기 2대, 화재징후 분석 서버 1대
- 관제실은 서버와 TCP/IP 통신을 통하여 원격 모니터링
( 지하 전력구 현황 및 화재징후 감지기 설치 모습 )
※ 현재 S사, H사, 공기업 등 다양한 고객사 제안 진행 중
'지능형 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능형 융복합 플레어스택 흑연감지 시스템 (0) | 2018.03.17 |
---|---|
지능형 영상 기반 차량 속도 측정 시스템 (0) | 2013.01.16 |
지능형 영상 보안 시스템 (0) | 2012.12.24 |
지능형 영상 화재 감지 시스템 (0) | 2012.12.24 |
댓글을 달아 주세요